HTTP 요청에는 GET
과 POST
이 존재합니다. 이는 HTTP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요청을 전송하는 두 가지 다른 방법입니다.
GET | POST |
---|---|
헤더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제한적인 데이터만 전송 가능(255자) | 바디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기 때문에 큰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음(제한 없음) |
전송하는 데이터가 URL에 노출됨 | 전송하는 데이터가 BODY에 담김 |
결과를 북마크에 저장할 수 있음 | 결과를 북마크에 저장할 수는 없음 |
스트링 데이터만 전송 가능 | 스트링, 숫자 등 전송 가능 |
파라미터가 웹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아 있음 | 파라미터가 웹 브라우저 히스토리에 남아 있지 않음 |
POST 요청에 비해 빠름 | GET 요청에 비해 느림 |
주된 차이점은 GET은 URL에 요청 파라미터를 추가하며, 변경 사항없이 데이터를 받는 반면, POST는 요청 메시지의 바디(body)에 요청 파라미터를 추가하고 전송하여 서버로부터 결과를 받는다는 것입니다.
사용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검색 페이지는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하기 위해 GET을 사용할 것입니다. GET은 보통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특정 정보를 요청할 때 사용합니다. 반면, POST는 사용자의 회원가입이나 예약 처리와 같이 정보를 등록하고 업데이트하는 데 사용합니다.
참고 자료: https://lazaroibanez.com/difference-between-the-http-requests-post-and-get-3b4ed40164c1
반응형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고 마이그레이션 초기화 방법 - TIL 10 (0) | 2022.01.30 |
---|---|
장고 타임 존 설정하기: 한국 시각 설정 - TIL 9 (0) | 2022.01.20 |
장고 모델에서 Q () 연산자 (or) 사용하는 방법 - TIL 7 (0) | 2022.01.18 |
파이썬 이메일, 비밀번호, URL 유효성 검사 정규 표현식 - TIL 6 (0) | 2022.01.16 |
장고 db_table 이름 지정과 활용 방법 - TIL 5 (0) | 2022.01.12 |